-
미국주식 해외주식 거래시 발생하는 배당소득세와 양도소득세에 대해 저번 글에서 간단히 안내 드렸었는데요.
아직 못 보셨다면 아래 글을 참고해 주시고요.
미국주식 배당소득세와 양도소득세 쉽게 알려드립니다(+신청방법)
미국주식 배당소득세와 양도소득세 쉽게 알려드립니다(+신청방법)
안녕하세요 성장하는삶입니다.저는 현재 일반계좌에서 미국주식을 조금씩 모아가는 중인데요.미국주식 거래 시 발생하는 세금을 알아두어야 할 필요를 느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국주식
muchhigherlife.com
이번 글에서는 미국주식 세금을 어떻게 하면 줄일 수 있는 지에 대한 절세포인트 두 가지를 알려드릴 거고요.
플러스로, 고액의 수익금이 있을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하면 좋은지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1. 지난 글 복습
지난 글에서 말씀드렸었죠?
250만원만 기억하면 된다.
국가에서 250만원까지는 기본적으로 세금 공제 해준다.
기본 공제를 해주는데 250만원의 22%는 55만원이기 때문에
1년에 우리가 미국 주식 세금으로 아낄 수 있는 최대 금액은 55만원이 되겠습니다.
2. 손실이 있는 경우 미국주식 세금 줄이기
먼저 첫 번째로 손실이 있는 경우입니다.
만약에 내가 해외 주식을 통해서 천만원 수익이 났다고 해보죠.
그러면 22% 양도소득세로 220만원을 내야 하지만
위에서 말씀드렸다시피 국가에서 55만원은 기본공제를 해주기 때문에 165만원만.
그러니까 천만원 수익이 나면 165만원을 양도소득세로 내야 합니다
그런데 이게 1년간의 매도 매수 중에 손실이 있다면 그것까지 고려를 해주거든요
특정 주식에서는 돈을 많이 벌었지만 또다른 주식은 돈을 많이 잃어서
결과적으로 수익금은 많이 없는데 번 것에만 떼가면 억울하잖아요.
그래서 손실 금액을 빼줍니다.
그렇기 때문에 혹시 계좌에 손실이 나고 있는 종목들이 있다면 그 손실 종목들을 매도를 해서
그 합계를 250만원으로 맞춘다면
똑같이 1000만원 수익이 났어도
세금은 0원을 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일단 여기서 아쉬운 점은 마이너스 보고 있는 수익을 확정 지어야 한다는 것이죠
따라서 어떤 분들은 이렇게 생각할 수 있을 겁니다
굳이 손절까지는 하기 싫은데...
그렇기 때문에 일단 매도를 했다가 바로 다시 재매수를 하는 방법을 선택합니다
그렇다면 평단가는 조정이 될지언정 주식은 여전히 보유한 것이 되기 때문에 아무런 영향이 없죠
이게 이렇게까지 해야 되나
편법 아닌가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
이것은 Tax loss harvesting이라고 해서 금융 선진국들에서도 공식적으로 하고 있는 행위고요
이를 막기 위해 미국에서는 Wash sale rule이라는 것을 만들어서 막기까지 하는
쫓고 쫓기는 싸움이 벌어지고 있지만
운 좋게도 우리나라에는 Wash sale rule 이 없기 때문에
자유롭게 Tax loss harvesting 을 하시면 된다!
3. 손실이 없는 경우 미국주식 세금 줄이기
두 번째는 손실이 없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그저 순수하게 1년에 55만원 정도 공제 받는다
이런 개념으로 접근해 주셔야 되는데요
그러니까 원래 1000만원의 수익이 났으면 양도소득세로 165만원을 내야 한다고 했죠
그런데 이것을 수익 실현을 1년에 250만원씩 4번에 걸쳐서 하게 되면 총 세금이 0원이 될 수 있습니다.
아까 165만원에 비하면 세금을 하나도 내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서 굉장한 메리트가 있죠
정리하자면 손실이 있는 경우는 손실분을 실현 후에 재매수하는 방식으로 250만원 라인을 맞추는 방안이 있고요.
손실이 없는 훌륭한 투자를 하고 계시는 경우 연마다 그냥 55만원씩 아낀다는 개념으로 250만원씩 익절을 한다
요런 식으로 접근을 하시고 내가 장기투자라서 나는 익절조차도 하기 싫은데? 하시면은 같은 맥락으로 55만원 아끼기 위해서 일부만 익절 하셨다가 다시 그냥 재매수 하는 방식으로 매년 55만원 혜택을 챙긴다는 느낌으로 가시면 되겠습니다
그런데 어떤 분들은 이러시는 분들이 있겠어요
아니 난 급하게 큰 돈이 필요해서 큰 익절이 좀 필요한데 이럴 때는 방법 없는지 궁금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방법이 있긴 합니다
바로 증여를 이용하는 것인데요
양도소득세 자체가 취득 가액 대비 매도가액의 차이 거기에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족들에게 증여를 해버리면이 취득 가액 자체가 증여 때의 기준으로 변경이 되어버리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1000% 수익이 났던 것도 증여를 하는 순간 0%의 수익으로 바뀌는, 하지만 돈은 그대로 있는 그런 효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여세 면세 한도를 보시고
이 한도 내에서 고액일 경우 증여 해 버리시면 양도소득세를 피할 수 있습니다.
단, 예전에는 증여한 다음에 바로 팔아버리는 그런 수단도 가능했지만
최근 들어서 증여 후에 1년 이내에 팔아버리게 될 시 증여 전 취득가액으로 산정을 한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이 방법을 쓰실 경우에도 증여 후로부터 1년 뒤에 팔아야 효과가 있다라고 말씀을 드리겠고요
그렇다면 마지막으로 사정상 이것도 좀 어렵다거나
혹은 증여세 한도보다 금액이 더 크다
이 경우는 최후의 방안으로 모범 납세를 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더 이상 방법이 없다
최선을 다한 후에는 어쩔 수 없는 것은 그저 받아들이고
기분 좋게 세금내는 것이 내 마음의 평안과 행복을 지키고 마음 편한 투자를 할 수 있는 겁니다.
우리가 어떤 공장을 운영하면서 엄청나게 많은 돈을 벌었다면 수많은 공공시설 도로, 전기, 물 이런 것들도 다른 사람들에 비해서 훨씬 많이 썼을 겁니다
가장 쉽게는, 전쟁이 났을 때 가장 아쉬운 사람은 무언가를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죠
어차피 가진 게 없는 사람들은 잃을 것도 없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이 많은 가진 거를 지키기 위한 국방 서비스 비용 자체도 많이 낼 수도 있는 거 아닙니까
그러니까 세금을 많이 낸다는 것은 우리가 그만큼 공공 서비스도 많이 활용을 했고 지켜내야 할 재산도 많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나는 자본가다' 이런 호방한 마인드로 세금도 기분 좋게내는 것이 결과적으로 우리가 행복하기 위해서 사는데 도움이 된다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참고: 김잔잔)
오늘 알려드린 내용이 앞으로의 성투에 도움이 되시길 기원합니다.
아래의 글도 읽어보세요.
S&P500과 나스닥100 수익률 뭐가 더 좋을까? 최강의 조합 추천
안녕하세요 성장하는삶입니다. 개인 투자자가 주식을 통해 필승할 수 있는 방법 중에 가장 쉬운 게 S&P 500과 나스닥 100의 조합입니다 두 종목만 조합해도 이 세상 어떤 주식의 조합보다 훌륭한
muchhigherlife.com
SCHD 적립식 투자가 S&P500 보다 불리한 이유
노후 대비용으로 가장 추천할 만한 etf를 꼽으라면 단연 S&P 500이나 SCHD를 많이 꼽으시는데요. 국내에서 출시한 S&P500으로는 ACE 미국 S&P500, TIGER 미국 S&P 500, KBSTAR 미국 S&P 500이 있고요. SCHD도 국내에
muchhigherlife.com
'부자되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ETF추천 BEST 5 (월배당,배당성장,커버드콜) (1) 2024.05.24 IRP 안전자산 추천! 고민말고 이거 담아두세요 (1) 2024.04.30 미국주식 배당소득세와 양도소득세 쉽게 알려드립니다(+신청방법) (0) 2024.04.28 발행어음, 예금 적금보다 훨씬 나은 이유 3가지 (1) 2024.04.25 연금저축펀드 중도해지 해도 괜찮은 이유(+해결책) (0) 2024.04.24